登錄

選單
当前位置:首页 >> 行業動態

韓國政府引導中小企業走向全球化,機會幾許?
Korean government leads SMEs towards globalization

發佈日期:2024-1-16

海擇短評 Haize Comment

南韓近年境內經濟增長不如預期,面對龐大基數的中小企業,政府開始說服中小企業放眼境外,走向全球化,與台灣政府此前的"新南向"政策,頗有異曲同工之妙。


時值2024新年,南韓新就任的中小企業和初創企業部長吳英珠(Oh Young-ju),宣布今年要帶動韓國中小企業(SME)走向全球;而後韓國中小企業聯合會(K-Biz)會長金基文(Kim Ki-mun),也在新年致詞中表示,其成員應利用南韓在全球美容和食品行業的優勢地位,擴大出口領土;韓國中間市場企業聯合會會長崔振植(Choi Jin-shik),也在演說中敦促會員利用外交和商業等合作資源,提前佔領國外市場。與2023年的新年演說相比,當時這些官方與準官方機構更專注於要求政府放鬆監管、支持私營企業成長,而非強調全球化。


不過,現實是在當前年代,在電商與泛互聯網公司領域,幾乎每個國家都有專業人才可以建構自己的產業與護城河,這與基建產業及電子加工產業需要仰賴外來企業直接投資迥異。最明顯的例子是,南韓政府點名了首爾的新創公司Torder,認為其具有出口的能力與優勢,而Torder的核心特點在於利用其餐桌點餐系統與POS支付的整合。事實上,各個國家都已經有類似的互聯網公司,各國自有的業者甚至可能在系統開發上更能貼近當地採購商(餐廳業者)的需求。


海擇資本認為,以旅遊OTA為例,雖然作為外資的Booking,看來像是在亞洲一騎絕塵,但其供應商地推與行銷空戰也做得並不容易,佣金率絕對沒有歐洲高;另一家外資Expedia在亞洲就不如Booking順利。再看各地的地頭蛇,無論是東南亞的Traveloka、Tiket,或是台灣的易遊網,無一不是當地的佼佼者;攜程從2015年就在談國際化,迄今Trip.com也不算在哪個中國以外的國家佔有絕對優勢。說是全球化也好,即便只是區域化,結合當前的區域情勢與地緣政治,都可以說是僅止於理想豐滿,當真正做到落地時,恐怕很多時後都還是以戰逼和,艱辛收購當地龍頭,而不是想像中摧枯拉朽式的降維打擊 。

----------

In recent years, South Korea's domestic economic growth has been below expectations. Faced with a large b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government has begun encouraging them to embrace globalization. This approach is somewhat similar to Taiwan's previous 'New Southbound Policy.'


As 2024 begins, the newly appointed Minister for SMEs and Startups, Oh Young-ju, announced plans to drive Korean SMEs towards global expansion. Kim Ki-mun, the president of the Korea Federation of SMEs (K-Biz), in his New Year address, suggested that members should leverage South Korea's global strengths in the beauty and food industries to expand their export territories. Choi Jin-shik, president of the Korea Medium Industry Association, also urged members to use diplomatic and commercial resources for early market capture abroad. This is a shift from the 2023 New Year speeches, which focused more on asking the government to relax regulations and support the growth of private enterprises, rather than emphasizing globalization.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the current era, in the fields of e-commerce and internet companies, nearly every country has the talent to build its own industries and moats, unlike the infrastructure and electronics manufacturing industries that rely on direct foreign investment. An example i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recognition of Seoul's startup Torder for its export capabilities and advantages, particularly its integrated table-ordering system and POS payments. In fact, similar internet companies already exist in many countries, with local players potentially more attuned to the needs of local buyers (restaurant operators).


Haize Capital believes that in the case of travel OTAs, while foreign-owned Booking appears dominant in Asia, its local business development and online marketing are challenging, and commission rates are not as high as in Europe. Expedia, another foreign player, has not been as successful in Asia as Booking. Local giants like Traveloka and Tiket in Southeast Asia, or Taiwan's EzTravel, are leaders in their regions. Ctrip has been discussing internationalization since 2015, but Trip.com does not have a clear advantage in any country outside of China. Whether it's globalization or just regionalization, combining the current regional situation and geopolitics, it seems to be more about idealistic aspirations. In reality, success often involves tough negotiations and acquisitions of local leaders, rather than the imagined overwhelming dominance.

----------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국내 경제 성장은 줄곧 예상을 밑돌았다. 방대한 중소기업 기수에 직면하여 정부는 중소기업이 세계화로 나아가도록 장려하기 시작했다. 이런 방법은 대만의 이전의 "신남향정책"과 다소 비슷하다.


2024년 벽두부터 오영주 신임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기업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신년사에서 뷰티, 식품 등 분야에서 한국의 글로벌 강점을 활용해 수출 분야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장도 "해외시장 조기 공략을 위해 외교와 비즈니스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화를 강조한 2023년 신년사보다는 정부의 규제 완화와 민영기업 성장 지원을 요청하는 데 치중했다.


그러나 현실은 현재 시대에 전자상거래와 인터넷 회사 분야에서 거의 모든 나라에 인프라와 전자 제조업처럼 외국인 직접 투자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산업과 해자를 건설하기 위한 인재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 정부는 서울 스타트업인 토더(Torder)의 수출 능력과 장점을 인정했고 특히 통합된 주문 시스템과 POS 지불을 실시했다. 사실 많은 나라에는 이미 비슷한 인터넷회사가 존재하고있으며 당지의 참여자들은 당지 구매자(음식점경영자)의 수요에 더욱 적응할 수 있다.


하이저 캐피털은 여행 온라인 여행사의 경우 외자회사인 부킹이 아시아에서 지배적이지만 현지 사업 발전과 온라인 마케팅이 모두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커미션율도 유럽보다 높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외자 회사인 익스피디아는 아시아에서 부킹보다 못하다. 동남아시아의 Traveloka와 Tiket, 대만의 EzTravel 등 현지 거물들이 모두 소재지역의 지도자들이다. 2015년 이후 씨트립은 국제화를 논의해 왔지만 씨트립은 중국 외 어느 나라에서도 뚜렷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세계화든 지역화든 현재의 지역 정세와 지연정치학을 결합하면 이상주의에 대한 바람만 더 많은 것 같다. 현실에서 성공은 종종 어려운 협상과 현지 지도자에 대한 인수에 관련되며 생각보다 압도적이지 않다. 

                                                                        

標籤 Label SMEs  Korea  Globalization  Torder 

Copyright @2020 Haize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