登錄

選單
当前位置:首页 >> 行業動態

為了地球的可持續性,你準備好吃蟲子了嗎?
More food firms add bugs to their recipes

發佈日期:2023-8-22

海擇短評 Haize Comment

當前在全球範圍受到各界重視的"可持續"產業,是人類在滿足需求與未來發展時,從資源開發、投資方向、技術發展和制度變革幾個領域保持環境平衡與和諧的過程;食物、食材角度也是可持續發展的重要細分領域之一,與過往從牛、羊、豬和雞等牲畜取得蛋白質相比,由於昆蟲維持體溫所需的熱量較動物為少,從昆蟲處取得蛋白質所需的飼料和水都更少,一般只需要1.7公斤的飼料,就能產生1公斤的蛋白質,養殖昆蟲產生的溫室氣體也僅為動物的七分之一以下。近期南韓已有幾家食品公司將食用昆蟲做為產品商標,在韓國知識產權局註冊,以利用昆蟲蛋白質創造食品獲取利潤,其中以樂天、新世界和CJ最具規模。


在近年昆蟲蛋白質商業化之前,植物蛋白質是早先一步受到重視的。以Beyond Meat為首的這類未來肉(future meat)來說,原料、製作技術其實與華人傳統的素肉差不多,主要差異在於華人的素肉蛋白質主要由黃豆而來,而歐美習於採用小麥、豌豆做為主要植物蛋白來源;至於油脂部分,傳統素肉大多採用大豆油,未來肉則使用是芥花油和椰子油居多。值得注意的是,Beyond Meat於2019年在NASDAQ上市時,市值最高曾接近140億美金,但目前市值僅剩約10億美金,這也反映了替代動物蛋白質之路不如此前想像順遂。


根據第三方數據,全球昆蟲相關市場預計到2024年將增長至超過19.0億美元,約比2019年的7.9億美元增長140%,絕對值不高,從新創產業的角度看,五年的CAGR增速也不算特別誘人。全球的食用昆蟲蛋白市場已不算發展蓬勃,從韓國數據來看,韓國的發展更低於歐美,根據韓國農業食品和農村事務部(Ministry of Agriculture,Food and Rural Affairs)的數據,2021年當地昆蟲養殖業的銷售額為446億韓元(約3500萬美金),僅比2020年同期增長7.7%。我們梳理原因如下:

1. 缺乏原創技術來源:此前CJ曾於2016年與韓國食用昆蟲實驗室(KEIL)簽署了開發昆蟲產品的備忘錄(MOU),但進展不如預期;目前的做法傾向從歐美取得相關技術,比如樂天通過加拿大食用昆蟲公司Aspire Food Group、並向法國昆蟲蛋白初創公司Ynsect 簽署了意向書(LOI),以取得技術,開發可食用昆蟲蛋白。

2. 市場仍需較育:昆蟲蛋白質若做為添加物性質肉眼較易被接受,但用量會較少,成本也較高;直觀的使用或許能更快的提高用量,以量創價,但還需要教育市場。

如果新創產業本身動能不大,但這又是被認定為重大產業趨勢,如果政府不介入補貼與推廣,估計難以收效。

----------

The "sustainable" industry, which is currently receiving global attention, is the process of maintaining environmental balance and harmony in areas such as resource development, investment directio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change, as humanity meets its needs and futur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ood and ingredients, it is also an important subdivi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mpared to obtaining protein from livestock such as cows, sheep, pigs, and chickens, insects require less heat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and less feed and water to produce protein. Typically, only 1.7 kilograms of feed is required to produce 1 kilogram of protein,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insect farming are less than one-seventh that of animals. Recently, several South Korean food companies have registered edible insects as their product trademarks at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iming to profit from food created with insect protein, with Lotte, Shinsegae, and CJ being the largest among them.


Before the commercialization of insect protein in recent years, plant protein was given attention earlier. For "future meat" products, led by companies like Beyond Meat, the raw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s are actually quite similar to the traditional vegetarian meat used by Chinese communities. The main difference lies in the source of the protein: traditional vegetarian meat in Chinese cuisine is primarily derived from soybeans, while Western cultures tend to use wheat and peas as their main sources of plant protein. As for the fat content, traditional vegetarian meat mostly uses soybean oil, while future meats often use canola and coconut oils. It's worth noting that when Beyond Meat went public on NASDAQ in 2019, its market value peaked at nearly 14 billion USD. However, its current market value is only around 1 billion USD, which reflects that the path of alternative protein has not been as smooth as expected.


According to third-party data, the global insect-related market is expected to grow to over 1.9 billion USD by 2024, a roughly 140% increase from 790 million USD in 2019. The absolute value isn't high and from the perspective of a startup industry, a five-year CAGR isn't particularly enticing. The global market for edible insect protein is not exactly booming. Based on South Korean data, the development there lags behind that in Europe and America. According to data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f South Korea, the sales of the local insect farming industry in 2021 were 44.6 billion KRW (approximately 35 million USD), only a 7.7%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20. We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reasons for this:

1. Lack of original technology sources: CJ previously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the Korean Edible Insect Laboratory (KEIL) in 2016 to develop insect products, but progress hasn't met expectations. Current practices tend to obtain relevant technology from Europe and America. For instance, Lotte has signed a letter of intent (LOI) with the Canadian edible insect company Aspire Food Group and the French insect protein startup Ynsect to acquire their technology and develop edible insect protein.

2. The market still needs cultivation

If the momentum of the startup industry itself is not strong, but it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industrial trend,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results without government intervention, subsidies, and promotion.

----------

현재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지속가능한' 산업은 인류가 자신의 수요와 미래 발전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자원 개발, 투자 방향, 기술 발전, 제도 변천 등 측면에서 환경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는 과정을 말한다. 식품의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또한 지속 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세분화이다. 곤충 단백질은 소, 양, 돼지, 닭 등 가축에서 단백질을 얻는 것보다 체온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열량이 적고 단백질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사료와 물도 적다. 통상 단백질 1㎏을 생산하려면 사료 1.7㎏만 필요한데 곤충 양식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동물 양식의 7분의 1도 안 된다. 최근 국내 여러 식품업체는 곤충 단백질로 만든 식품으로 이득을 보려고 식용곤충의 상표를 특허청(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에 등록했다. 롯데, 신세계, CJ가 대표적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곤충 단백질이 상품화되기 전에 식물 단백질은 비교적 일찍 중시를 받았다. 비욘드 미트(Beyond Meat) 등을 위시한 '미래 육류(future meat)'제품의 원재료와 생산 공정은 사실 중국인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전통적인 채식육과 매우 비슷하다. 하지만 양자의 주요한 구별점은 단백질의 래원에 있다. 중국인의 전통적인 채식은 주로 콩에서 온것이고 유럽과 아메리카는 밀과 완두콩을 식물단백질의 주요래원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지방 함량에 대해 말하자면, 전통적인 채식육은 대부분 콩기름을 사용하지만, '미래 육류'는 대부분 카놀라유와 코코넛오일을 사용한다. 특히 비욘드 미트는 2019년 나스닥에 상장했을 때 시가총액이 최대 140억 달러에 육박했다. 그러나 현재 시가는 10억 달러 안팎에 불과해 대체 단백질의 발전이 기대만큼 순조롭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타사에 따르면 2024년까지 전 세계 곤충 관련 시장은 19억 달러 이상으로 2019년 7억9,000만 달러보다 약 14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절대치가 높지 않고 창업산업의 관점에서 볼 때 5년간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특별히 흡인력이지 않다. 식용 곤충 단백질의 전 세계 시장은 결코 번영하지 않는다. 한국에 따르면 한국의 발전은 유럽과 미국에 뒤처져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1년 현지 곤충양식산업 매출액은 446억원(약 3,500만 달러)으로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7.7% 증가하는 데 그쳤다. 2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원천기술 부재: CJ는 2016년 한국식용곤충연구소(KEIL)와 곤충제품 개발을 위한 각서(MOU)를 체결했으나 기대만큼 못 미쳤다. 현재의 방법은 유럽과 미국으로부터 관련 기술을 획득하는 경향이 있다. 예로 들어 롯데는 캐나다 식용곤충기업 아스파이어푸드그룹(Aspire Food Group)과 프랑스 곤충단백질 스타트업 이엔섹트(Ynsect)와 식용곤충 단백질 인수 기술 및 개발을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2.이 시장은 아직 육성이 필요함: 곤충 단백질은 첨가물 성질로 육안으로 비교적 쉽게 받아들여지지만 사용량이 비교적 적고 원가도 비교적 높다. 직관적인 사용은 사용량을 더 빨리 높이고 수량으로 가격을 창출할 수 있을 수도 있지만, 이는 여전히 시장의 육성이 필요하다.

창업산업 자체의 추세가 강하지 않지만 중요한 산업 추세로 인정받고 있다. 정부의 간섭, 보조금, 추진 없이는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文章鏈接 Hyperlinkhttps://www.koreatimes.co.kr/www/tech/2023/07/419_354653.html 

資料來源 Resource:Koreatimes

標籤 LabelSustainable  Food  Alternatives  Beyond Meat

Copyright @2020 Haize Capital